AI 콘텐츠 만들 때 주의 해야 할 체크리스트!
AI 콘텐츠 제작, 4가지 원칙만 기억하세요!
생성형 AI 덕분에 누구나 멋진 콘텐츠를 만들 수 있어요! 하지만 AI가 만든 콘텐츠를 만들다보면 저작권이나 허위 정보 등이 고민이 되는데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10가지 체크리스트의 핵심 내용을,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제작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할 4가지 원칙으로 정리했습니다. 이것만 간략하게 기억하세요!
✅ 원칙 1. AI 제작물임을 밝혀주세요 #AI라벨링
AI는 창작을 돕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그 결과물에 대한 최종 책임은 결국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창작 환경과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 AI로 만든 콘텐츠라는 사실을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콘텐츠는 AI 기술로 제작되었습니다” 와 같은 메시지를 콘텐츠 내에 삽입하거나,
#AIart, #생성형AI, #AI생성 과 같은 해시태그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 원칙 2. 책임감있는 콘텐츠 #권리침해방지
AI콘텐츠는 손쉽게 제작이 가능한만큼, 더 책임감 있게 제작되어야 합니다. AI 로 콘텐츠를 제작할 때 다음 내용을 꼭 기억해주세요.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세요 (저작권, 초상권): 인터넷의 이미지나 글, 특정 인물의 목소리나 얼굴을 동의 없이 AI 학습이나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것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만든 AI 콘텐츠가 누군가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지 꼭 확인해주세요.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으세요 (명예훼손, 혐오 표현 금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비하거나 차별하는 내용, 혹은 가짜뉴스를 만드는 목적으로 AI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만드는 콘텐츠는 즐거움과 유익함을 주어야 한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 원칙 3. 다 믿지 말고, 직접 확인하세요. #팩트체크
AI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사실이 아니거나, 편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세요.
AI의 '그럴듯한 거짓말(Hallucination)'을 주의하세요: AI는 사실이 아닌 정보를 진짜처럼 자신감 있게 말하는 '할루시네이션' 현상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AI가 알려준 정보나 데이터는 반드시 다른 자료를 통해 교차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사실관계가 맞는지 (통계, 수치, 인용) / 최신의 정보인지(법규개정, 서비스업데이트, 트렌드) 를 한번 더 확인해야 합니다.
'숨겨진 편견'은 없는지 의심하세요 (정보 편향): AI는 인터넷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내재된 사회적 편견(성별, 인종 등)을 그대로 보여줄 위험이 있습니다. AI가 만든 결과물이 특정 편견을 강화하고 있지는 않은지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 원칙 4. AI는 똑똑한 '조수'로 활용하세요. #보조활용
AI는 우리의 창의력을 대체하는 마법 지팡이가 아니라, 우리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어주는 최고의 보조자입니다. AI콘텐츠를 만드는 주인은 AI 자체가 아니라, 크리에이터 본인이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AI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지 마세요 (오남용 방지): AI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반복 작업을 줄여주는 훌륭한 '보조 도구'입니다. 충분한 검토와 수정 없이 AI의 결과물을 검토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요.
나만의 아이디어를 더해 발전시키세요 (창의성): AI가 제안한 결과물을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하는 것을 넘어, 그것을 영감의 재료로 삼아 나만의 아이디어를 덧붙이고 재해석하세요.
AI, 이제 똑똑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생성형 AI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강력한 도구임이 분명합니다. 이 강력한 힘을 더 즐겁고 이롭게 사용하기 위해, 오늘 살펴본 몇 가지 원칙들을 기억해주세요.
#AI라벨링
AI로 만들었다는 걸 명시하세요.#권리침해방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며 책임감 있게 만드세요.#팩트체크
AI가 제안한 내용은 한번 더 확인하고 검토하세요.#보조적활용
AI는 똑똑한 조수로 활용하세요.
캐럿(Carat) AI 에서는 AI가 유해한 콘텐츠(선정성, 폭력성 등)를 만들지 않도록 필터링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여러분의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