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콘티’와 비슷한 개념으로, ‘영상 스토리보드’가 있어요. 엄밀하게는 목적과 상세함에 차이가 있지만, 둘 다 이야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로 구분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어요!
스토리보드: "어떤 이야기를 보여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전체적인 그림 계획서 (주로 외부에 보여주는 용도)
콘티: "그 이야기를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매우 상세한 촬영 지침서 (주로 내부 제작진을 위한 용도)
영상 제작, 막막하게 느껴지시나요? 아이디어는 있는데 이걸 어떻게 영상으로 구현해야 할지 고민될 때가 많죠. 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영상 콘티'예요. 오늘은 영상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영상 콘티가 무엇인지부터, 캐럿 AI를 활용해서 영상 콘티를 만드는 방법까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콘티'라는 말, 왠지 전문적이고 어렵게 들리시나요? 사실 콘티는 '콘티뉴이티(Continuity)'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영상의 '연속성'을 위한 설계도예요. 영화나 드라마, 광고, 유튜브 영상 등 모든 영상 콘텐츠를 만들기 전에, 어떤 장면을 어떤 구도로, 어떤 순서로 촬영할지 미리 그림과 글로 상세하게 계획해두는 거죠.
❓
‘영상 콘티’와 비슷한 개념으로, ‘영상 스토리보드’가 있어요. 엄밀하게는 목적과 상세함에 차이가 있지만, 둘 다 이야기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로 구분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어요!
스토리보드: "어떤 이야기를 보여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전체적인 그림 계획서 (주로 외부에 보여주는 용도)
콘티: "그 이야기를 어떻게 찍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매우 상세한 촬영 지침서 (주로 내부 제작진을 위한 용도)
그럼 영상 콘티가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명확한 소통의 도구: 감독, 촬영팀, 배우, 편집팀 등 수많은 스태프가 함께 움직이는 영상 현장에서 모두가 같은 그림을 보며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AI로 영상을 만들 때도 스타일과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줘요.
시간과 비용 절약: 미리 철저하게 계획해두면 촬영 현장에서 우왕좌왕할 일이 줄어들고, 불필요한 재촬영을 막아줘요. 덕분에 귀한 시간과 제작비를 아낄 수 있답니다. AI로 영상을 만들 때도 프롬프트 수정 횟수를 줄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어요.
영상 퀄리티 향상: 영상 콘티는 영상의 흐름, 분위기, 메시지를 미리 시각화해서 점검할 수 있게 해줘요. 덕분에 더 짜임새 있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죠.
한마디로, 콘티는 영상 제작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며, 최종 결과물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콘티'라고 하면 보통 영화나 드라마를 떠올리기 쉬운데, 광고 영상에서도 콘티는 필수적인 역할을 해요. 기본적인 원리는 같지만, 목적과 특성 때문에 강조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목적과 길이의 차이:
영화/드라마 콘티: 긴 시간 동안 이야기를 풀어내야 하므로, 인물의 감정선, 서사의 흐름, 복선 등 '이야기 전개'에 더 집중해요. 콘티의 양도 훨씬 방대해지겠죠.
광고 콘티: 보통 짧게는 15초에서 길어야 1~2분 정도의 시간 안에 제품이나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를 명확하고 강렬하게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에요. 따라서 각 컷(Cut)이 매우 밀도 높게 구성되고, 시청자의 시선을 즉시 사로잡는 임팩트가 중요해요.
연출과 표현의 차이:
영화/드라마 콘티: 디테일한 연기 지시, 카메라의 복잡한 움직임, 섬세한 감정 표현 등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광고 콘티: 짧은 시간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기 위해, 제품/브랜드 로고 노출 시점, 비주얼적인 특장점 강조 방식 등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답니다. '이 제품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도록 설득하는 데 초점을 맞추죠.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영상 콘티가 '머릿속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영상 계획으로 만드는 도구'라는 본질은 같으니, 어떤 영상을 만들든 오늘 배울 콘티 작성법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럼 본격적으로 영상 콘티를 작성할 때 어떤 내용들이 들어가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인 핵심 요소들을 알려드릴게요.
컷 번호 (Shot Number): 각 장면을 구분하는 고유 번호예요. '1번 컷', '2번 컷'처럼 순서대로 매겨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장면을 찾기 쉽게 해줍니다.
시간 (Time / Duration): 각 컷의 예상 길이를 적어두는 거예요. '0:03' 또는 '3초'처럼 표시해서 영상의 전체 길이를 가늠하고 편집할 때 유용하답니다.
장면 시각화 (Visual Description): 각 컷의 시각적인 요소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부분이에요. 인물, 배경, 소품, 구도와 앵글이 어떻게 표현될 지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AI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어요.
컷 내용 설명 (Shot Content): 해당 컷 안에서 벌어지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사건, 인물의 움직임, 카메라의 미세한 동선 등 컷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부분이에요. '화면'이 정적인 비주얼이라면, '컷 내용'은 그 안에서 벌어지는 동적인 요소를 나타낸답니다.
구도 / 앵글 (Composition / Angle): 카메라가 어떤 위치에서 어떤 각도로 대상을 찍을지 알려주는 거예요. '클로즈업(CU)', '풀샷(FS)', '하이 앵글', '로우 앵글'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인물의 시선 처리나 동선 등도 함께 표시해 줍니다.
대사 / 나레이션 (Dialogue / Narration): 해당 컷에서 등장인물이 하는 대사나 배경에 깔리는 나레이션 내용을 적는 부분이에요.
사운드 (Sound Effects / BGM): 효과음(S.E.)이나 배경 음악(BGM) 등 영상에 들어갈 소리 요소를 표시해요. 어떤 분위기의 음악인지, 어떤 효과음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적어두면 좋겠죠.
이 요소들을 꼼꼼하게 채워 넣으면, 영상 제작의 밑그림이 완벽하게 그려진답니다.
위에서 컷(Cut)이라는 말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요. 이는 영상의 단위를 설명하는 말이에요. 영상은 크게 '시퀀스(Sequence)', '씬(Scene)', '컷(Cut)'이라는 세 가지 단위로 나눌 수 있어요. 이 개념을 이해하면 복잡한 이야기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답니다.
시퀀스 (Sequence): 큰 흐름을 가진 이야기 덩어리예요. 여러 씬이 모여 하나의 완결된 사건이나 감정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위죠.
씬 (Scene): 시퀀스 안에서 특정한 시간과 공간적 배경을 공유하는 사건의 단위예요. 장소나 시간이 바뀌면 새로운 씬으로 넘어가게 돼요.
컷 (Cut): 영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카메라가 한번 찍은 영상 조각이에요. 샷(Shot)이라고 하기도 해요. 씬 안에서 다양한 구도와 앵글로 촬영된 여러 컷들이 모여 하나의 씬을 완성합니다.
예시로 '주인공이 학교에 가는 여정' 시퀀스를 살펴볼까요?
시퀀스: [등교길] (주인공의 아침 등교 과정)
씬 1: [집 앞 골목길] (아침 8시, 주인공이 집을 나서는 장면)
컷 1-1: 주인공이 문을 열고 나오는 풀샷.
컷 1-2: 주인공의 신발을 클로즈업.
컷 1-3: 햇살을 받으며 걷는 주인공의 바스트샷.
씬 2: [버스 정류장] (아침 8시 10분, 주인공이 버스를 기다리는 장면)
컷 2-1: 정류장 전체를 보여주는 롱샷.
컷 2-2: 주인공이 휴대폰을 보는 클로즈업.
씬 3: [학교 교문] (아침 8시 30분, 주인공이 학교에 도착하는 장면)
컷 3-1: 교문으로 들어서는 주인공의 미디엄샷.
이처럼 시퀀스, 씬, 컷은 이야기의 큰 그림부터 세부적인 연출까지 체계적으로 담아내는 데 도움을 줘요.
캐럿을 활용하면 영상 콘티를 쉽고, 똑똑하게 만들 수 있어요. 특히 ‘장면 시각화’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답니다. 아래 순서를 따라 AI와 콘티를 구체화하고, 완성해보세요!
영상의 타겟과 목적, 시간을 알려주고 콘티 초안을 요청하세요.
누구를 위한 영상인가요? 타겟 시청자를 명확히 합니다.
무엇을 보여주고 싶은가요? 영상의 핵심 메시지나 주제를 정의합니다.
영상 시간을 얼마나 되나요? 시간을 통해 이야기의 밀도를 결정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실사 스타일의 귀여운 햄스터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공익 광고를 제작할 거야. 타겟 시청자는 서울 시민들이고, 운전 대신 대중교통 탑승을 장려하고 싶어. 시간은 20초야. 먼저 콘티를 짜줘.
스토리라인이 마음에 든다면, 각 씬의 장면 시각화를 요청하세요.
예시 프롬프트: 각 씬별로 이미지를 생성해줘.
각 이미지에서 수정하고 싶은 부분을 요청해보세요.
예시 프롬프트: 1번 씬에서 차가 너무 작아. 햄스터보다 커야 해.
최종 결과물을 순서대로 정리해달라고 해보세요.
예시 프롬프트: 지금까지 작업한 최종 이미지와 콘티를 순서대로 정리해봐.
이렇게 영상 콘티가 완성되었어요👏 이제 이 콘티를 바탕으로, 캐럿과 함께 영상을 완성해보세요!
영상 콘티는 영상 제작의 첫 단계이자 효율적인 제작과 높은 퀄리티를 위해 매우 중요해요. 캐럿과 함께라면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콘티를 작성할 수 있답니다.
더 나아가 캐럿은 콘티를 바탕으로 직접 영상과 오디오를 생성할 수도 있어요. 기획부터 이미지, 영상, 오디오 생성까지 모두 1곳에서 진행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이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누구나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캐럿과 함께 여러분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지금 바로 꺼내보세요!
AI가 궁금할 땐, 캐럿 블로그